안녕하세요, 이번에 위즈넷에서 새로운 칩을 출시했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RP2040과 위즈넷의 W5500이 하나의 칩으로 합쳐졌습니다.
흥미롭네요. RP2040 솔루션에 이더넷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이미지는 WIZnet 공식 웹사이트 데이터입니다. 보시다시피 W5500과 RP2040, 2MB 플래시가 하나의 칩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이 칩은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W5500 확장 우리가 사용하던 전통적인 이더넷 칩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메인 MCU가 따로 있고 W55RP20을 사용하여 W5500처럼 이더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상황에서 W5500보다 W55RP20이 더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사전 프로그래밍 및 맞춤 서비스입니다. 전통적인 이더넷 칩처럼 SPI가 있는 W55RP20을 MCU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TLS 및 SSL과 같은 많은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RP2040 Extensions RP2040처럼 범용 MCU로 사용됩니다.
TCP/IP 이더넷을 탑재한 RP2040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rial to Ethernet을 개발하는 개발자들에게는 정말 매력적인 칩이 될 것 같습니다. Edge device 개발은 다양한 센싱을 받을 수 있고 이더넷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도 좋은 선택입니다.
위는 W55RP20의 블록 다이어그램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핀아웃은 이렇습니다. 패키지는 68pin QFN 타입입니다. 바깥쪽 핀에는 GND가 없고 안쪽에는 Thermal PAD가 있습니다.
WIZnet 홈페이지에는 W55RP20으로 제작된 피코보드에 데이터가 있습니다. 기존 W5500-EVB-PICO와 기능이 동일한 것 같습니다.
핀아웃은 위와 같습니다.
몇 개의 GPIO는 보드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칩을 개발할 때 몇 개의 GPIO가 누락되었다고 들었는데 아쉽네요. 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피코 보드와 같습니다.
보드를 샘플로 받았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샘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C타입 커넥터입니다. 드디어 마이크로 B에서 벗어났네요.
스위치가 바뀌었습니다. 크고 튼튼한 스위치가 두 개 있습니다. 이전 W5500-EVB-Pico 스위치보다 훨씬 더 좋아 보입니다.
사용자, ACT, DUP, SPD, LINK LE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D를 통해 다양한 이더넷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칩 마킹은 굉장히 심플하네요. 엔지니어링 샘플이기 때문에 변경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파워단도 바뀐 것 같습니다. 위즈넷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던 리니어 레귤레이터에서 DCDC로 바뀐 것 같습니다. 찾아보니 PWM/PFM 모드 선택이 가능한 DCDC 스타일입니다. Raspberry Pi Pico와 같은 방식인 것 같습니다. 이 제품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사용 가능할 것 같습니다.(1.8V ~)
뒷면에도 아무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PoE Module의 헤더로 보입니다.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헤더를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공간적인 관점에서 헤더 없이 바로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모듈을 설치하면 PoE를 매우 컴팩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개발 환경을 살펴보아야 할 시간입니다.
안타깝게도 파이썬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C/C++는 개발된 것 같습니다.
Github내용은 이렇습니다. WIZnet-PICO-C 라고 하는데 아마 위즈넷의 피코보드 라이브러리를 하나로 병합한 것 같아요.
결론
기능과 가격은 나쁘지 않은 것 같아요. 예전 피코보드와 가격이 같아서 좋은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Serial to Ethernet 제품이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Wiznet > Hard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이로센서[각속도센서]에 대해 알아보자2 (ICM-40609-D) (0) | 2024.10.16 |
---|---|
자이로센서[각속도센서]에 대해 알아보자 (ICM-40609-D) (0) | 2024.10.04 |
간단하게 Ethernet과 PoE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소개 (0) | 2024.08.16 |
RT6150 DCDC 설계(2) - 동작구조 (2) | 2024.02.16 |
RT6150 DCDC 설계(1) - PSM이란?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