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원하는 MCU와 Ethernet을 연결할 수 있는 PP-W5500-N 모듈 (+POE) https://www.us-platypus.com/25/?idx=27 PP-W5500-NW5500www.us-platypus.com이 모듈은 원하는 MCU와 연결해 Ethernet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모듈이다. WIZnet사의 W5500이 장착되어 있어서 SPI만으로 Ethernet 연결이 가능하게 해준다. 게다가 PoE 모듈을 장착하면 PoE 까지 사용이 가능하다.장착하면 이런 모습니다. 실제로는 훨씬 작은 느낌이다.  스펙은 이렇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W5500의 스펙이 있고, PoE의 스펙은 어떤 PoE 모듈을 장착하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해당 PoE RJ-45의 스펙이 IEEE 802.3af 이라 15W까지만 허용됩니다.  조금 특이한 점은 Link, Action, Duplex, .. 2024. 8. 19.
간단하게 Ethernet과 PoE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듈 소개 요즘 저렴하고 튼튼한 PoE 모듈이 시중에 많이 있다. 게다가 가격까지 저렴한 모듈도 중국시장엔 어마어마하게 많다.  하지만 Ethernet 칩과 PoE가 결합되어 있는 제품은 그렇게 많지않고, 온도, 통신, EMC 등 여러가지 문제들이 많이 발생한다. 보통의 PoE의 PD는 Flyback 회로로 설계되어 있는데, 스위칭 회로이기때문에 열, 노이즈, EMI방사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듈은 그런 것들을 잘 잡아놓은 듯 하다. 스펙은 아래와 같다. 최대 출력은 8W라 IEEE802.3af에 속한다. (802.3AT라고 해놓곤 스펙이 15W 미만인 이상한 모듈들이 참 많다.)Mode A, B를 모두 지원하고, PSE전압은 40~60V로 아주 와이드하게 동작한다. OV, OC 보호회로가 있.. 2024. 8. 16.
FET 스위칭 회로 설계시 온도스펙 고려사항 2024. 3. 7.
RT6150 DCDC 설계(3) - L값 구하기 RT6150은 Buck-Boost Type이다. Buck 상태와 Boost 상태에서의 값을 둘 다 계산해보려한다. ∆IL : 인덕터의 전류 리플 L : 인덕터의 L값 fsw : Swithing Frequency D : Duty ratio 기본 식은 위와 같이 된다. RT6150는 Buck-Boost Type의 DCDC이다. Buck의 경우와 Boost의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에선 위와 같이 D=Vin/Vout 을 대입해서 L값을 구할 수 있다. Boost Converter Boost 의 경우에는 D=1-(Vin/Vout)을 대입해서 L값을 구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더 크게 나오는 L의 값을 사용값으로 정해주면 된다. 그럼 내가 사용할 L값을 선.. 2024. 2. 18.
RT6150 DCDC 설계(2) - 동작구조 RT6150의 내부 블럭도를 보자 위와 같이 생겼다. 위는 일반인 Buck-Boost 컨버터이다. Gate Driver 에는 RS F/F과 OSC 가 들어있다. 위와 같이 LX1, LX2사이엔 외부에 Inductor를 설계해줘야한다. Buck Converter 먼저 Buck Converter로 사용될 때이다. Inductor 충전 타이밍 인덕터 방전 타이밍 Boost Converter 다음은 Boost Converter로 동작할 때이다. 인덕터 충전 타이밍 인덕터 에너지 + VIN : 전압 상승 타이밍 // 요즘엔 Diode 말고 N,P Channel MOSFET 두개씩으로 많이 구성되어 있는데, 아무래도 효율때문에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외부 소자들을 작게하려면 빠른 주파수컨트롤이 요하기 때문에 다이오.. 2024. 2. 16.
RT6150 DCDC 설계(1) - PSM이란? Raspberry Pi Pico 보드에 Official로 Open되어있는 DCDC 부분의 회로이다. L, C 선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RT6150B-33GQW 를 선정한 이유와 그 기능까지도 알아보도록 하겠다. RT6150의 Datasheet다. 주의해서 볼 부분은 Input Voltage 범위가 무려 1.8 ~ 5.5V라는 것이다. 3.3V fixed output 출력의 소자로써는 승압, 강압이 다 가능한 Buck-Boost Converter이다. 그리고 한가지 새로운 것이 보였는데 PSM 기능이다. PSM기능은 아래에서 조금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다. PSM 기능 Switching Fq 는 1MHz 로 셋팅되어 있다고 한다. (일반적인 Converter 보단 주파수가 굉장히 높은듯 보인.. 2024.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