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55 USB C Type 으로 Ethernet 통신하기 -- 1 임베디드에도 C-Type의 USB Connector가 슬슬 쓰이기 시작하는 것 같다. 사실 C-Type의 본질은 빠른 데이터 전송(3.0이상의 통신)과 풍부한 전원공급 등에 있다. 하지만 임베디드에서 , 적어도 Pico 보드나 일반적인 모듈에서 USB connetor는 FW writing, 전원공급으로 쓰인다. 보통의 경우에선 3.0 이상의 USB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제 시장에 C-Type 의 사용이 많이 풀렸고, Micro Mini B는 죽어가는 상황이니, USB-C Type Connector를 사용하자는 이야기가 나온다. (USB C Type인데 Power와 2.0만 지원하는 Connector도 많아짐) 서론이 길었는데 아무튼 C-Type을 생각해보다 USB 3.0 라인을 이더넷 라인으로 .. 2024. 1. 11. W5500 POR 에 관하여 WIZ850io 이다. 아래 회로에서 볼 수 있듯, W5500와 필수적인 회로도만 갖춰져 있는 간단한 모듈이다. 회로에서 볼 수 있듯, POR 회로는 갖춰져있지 않다. 그렇기때문에 이 모듈이 장착되는 마더보드에서 POR회로를 설계해줘야 한다. 하지만 W5500 개별동작하는 경우는 없고, MCU와 연결되어 동작하기때문에 MCU에서 리셋을 걸어주면 문제될 것은 없다.(실제로 W5500을 사용하는 Library에는 전부 인위적으로 리셋을 걸어주는 코드가 포함되어있다. 아래와 같이 500us 이상의 리셋을 걸어줘야 내부에서 인식을 한다. 실제 코드에선 안전하게 100ms를 걸어준다.) 위와 같이 MCU에서 인위적으로 리셋을 걸어주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지만, 리셋을 걸어주지 못하는 회로를 구성했거나 외부 노이즈.. 2024. 1. 4. Raspberry PI 5 + PoE(30W) -----(1) 드디어 Raspberry Pi 5가 출시가 됐다. 이제 Raspberry Pi 4에서 진행했던 PoE+ 를 Raspberry Pi 5 에서 조금 더 업그레이드 된 느낌으로 모듈 진행을 해보겠다. 출력단 캐패시터의 부재를 너무 절실히 느껴 큰 전해캡 2개를 추가로 설계했다. 값은 직접 변경해보면서 적정값을 찾을 예정이다. 그리고 스너버 회로 저항과 캐패시터의 크기를 조금 키워주었다. Artwork을 마친 모습이다. (폴리곤 제외한 모습) Cooling Fan 을 최대한 큰 것으로 하고 싶었지만 타협하고 타협하다 결국 30x30으로 정했다... 그리고 MIPI Connector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놨다. 이 보드는 WIZnet Chip을 이용해 Ethernet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물.. 2023. 12. 21. Raspberry PI 4 + PoE(30W) -----(2) 조립이 완료되었다. 디버깅하다보니 조금의 문제가 있어서 점퍼를 날렸다... 뒷면의 모습이다. WIZnet 로고가 박살이 났다. Tranfomer 설계업체에서 Trans를 잘못만들어줘서 동작시켰다가 바로 터졌다. (진짜 펑하고 터져서 많이 놀람..) 빠르게 다시 정상적인 Sample을 만들어주셔서 Test 진행할 수 있었다. PoE Detecting 회로를 동작시키기 전에 좋은 전압으로 테스트해보기 위해 Power Supply로 디버깅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가지고 있는 오실로스코프가 절연이 되어있지 않아 Transformer 내부의 정류다이오드가 계속해서 터졌다.. 파형은 좋지 않았지만 Power Supply로 일단 25W 까지 정상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Detecting 회로까지 검증이 되도록 PSE.. 2023. 12. 19. Raspberry PI 4 + PoE(30W) -----(1) 개요 Raspberry PI 5 가 상용화되기가 얼마남지 않았다. 하여 Raspberry PI 5 와 WIZnet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해보기로 한다. 지난 8W급 PoE 개발에 이어 이번에는 IEEE 802.3at에 부합하는 30W급 PoE제품을 만들어보도록 하겠다. 다만 아직 Rasberry Pi 5가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Raspberry Pi 4로 진행을 하기로 한다. 이렇게 생겼다. 그리고 Raspberry PI 4는 열이 많이 발생하는 이슈가 있다. (물론 전류를 많이 사용할 경우) 그래서 대부분 제대로 사용하려면 케이스에 Cooler를 장착해서 사용하곤 한다. 우리 회사에도 마침 이렇게 케이스가 장착되어있는 Raspberry PI 4 가 굴러다녀서 검토를 했다. 어떤 Cooler case가.. 2023. 12. 1. 펠리웨이(FELIWAY)가 과연 효과가 있을까? 펠리웨이(FELIWAY)란 고양이 뺨에서 나오는 페로몬과 유사하게 인조적으로 만든 페로몬이다. 우리나라에선 고양이 진정제로 많이 알려져있는 듯 하다. 사실 잘 몰라서 조금 알아봤다. 국내에선 동물병원에선 판매하고 있지 않은 듯 하다. 그래서 더 괜찮은가? 싶어졌다.. 고양이에서 자주 있는 행동학상의 문제와 해결을 위한 Feliway 제품의 사용 | DBpia 신창섭 | WITH CAP(COMPANION ANIMAL PRACTICE) | 2003.3 www.dbpia.co.kr 국내 논문이 있으니 참고하려면 참고해도 좋을 듯 하다.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어서 내용을 공유는 못하니 해외논문 하나를 공유하려고 한다. An Initial Open-Label Study of a Novel Pheromone Com.. 2023. 7. 12.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